밍키의 마법세상

JAVA (2) - 자료형 본문

Programming/Java

JAVA (2) - 자료형

요술공쥬 2019. 6. 8. 16:50

오늘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의 변수 선언과 초기화는 C와 같으므로 일단 넘어가겠다!

 

 

 

우선 자바의 출력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System.out.println();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한뒤 줄바꿈을 해준다. = print("\n");

--> System.out.print();

      괄호 안의 내용만 출력한다.

두개가 있다. 

 

 

 

그럼 자바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두가지로 크게 나뉜다.

--> Primitive Type : 기본형, 기본적으로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형

--> Reference Type: 우리가 직접 만드는 자료형(class, interface, enum)

 

 

그럼 기본형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자료형 크기 값의 범위
정수형 byte 1바이트 -128 ~ 127
short 2바이트 -32,768 ~ 32,767
int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
long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실수형 float 4바이트 1.4 x 10^-45 ~ 3.4 x 10^38 (양수범위)
double 8바이트 4.9 x 10^-324 ~ 1.8 x 10^308 (양수범위)
유니코드(문자) char 2바이트 0 ~ 65535
논리형 boolean X false 또는 true

 

 

여기서 long과 float를 쓸때 유의점이 하나 있다!

바로 

뒤에 L과 F를 넣는 것이다.

자바에서는 특별히 명시한것이 없다면 정수는 int, 실수는 double로 취급한다. 그래서 long인 경우에는 L을 넣고 float 의 경우에도 F를 넣어 명시해줘야 한다.

 

그렇다면 c에서의 const를 자바에선 어떻게 쓸까?

 

 

바로 자료형 앞에 final을 붙이는 것이다.

반응형

'Program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6) - static  (0) 2019.06.08
JAVA (5) - 지시자, 캡슐화  (0) 2019.06.08
JAVA (4) - class  (0) 2019.06.08
JAVA (3) - 연산자  (0) 2019.06.08
JAVA (1)  (0) 2019.06.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