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의 마법세상

JAVA (4) - class 본문

Programming/Java

JAVA (4) - class

요술공쥬 2019. 6. 8. 17:43

이번엔 대망의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자!

 

클래스란?

--> 객체를 정의해놓은 것으로 틀이라 정의할 수 있다.

 

객체란?

--> 클래스를 이용해 실체화 시킨 것으로 틀로 나온 제품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담 C의 구조체와 다른점은 무엇일까?

--> 큰 차이점은 자바에선 객체를 이루는 요소가 변수같은 "데이터"분만 아니라 "기능까지 구현하여 넣을 수 있다."

     마치 C의 사용자 지정 함수의 역할도 한다는 것이다!

 

 

클래스를 생성할때는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class 클래스이름 {

    내용....

}

 

주의할 점은 클래스의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생성한 클래스를 객체로 만드는 법은 무엇일까?

 

클래스이름 객체이름 = new 클래스이름();

이다.

만약 Hi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이를 객체화 시킨다면?

Hi라는 클래스를 hi라는 이름으로 객체화 시켰다.

그럼 왜 객체화를 시키는 것일까?

-->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하는 작업이라 생각하면 된다. 

      마치 우리가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선언해주는 것과 같다.

 

그럼 덧셈을 하는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1. 생성자를 이용한다.

2. 입력하는 메소드를 만든다.

 

우선 생성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럼 입력하는 메소드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성자를 더 자세히 알아보자!

 

생성자는 위의 주석에도 있듯이 클래스를 객체화 시켰을때 한번만 실행되는 것이다.

또한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가졌고, 반환형이 없는 메소드 이다.

 

이 과정을 보면 객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자가 호출되어 실행되는 것이다.

보통 생성자를 만들지 않으면 기본 생성자가 포함되어 생성된다.

객체화된 변수를 무엇이라 부를까?

--> 바로 "참조변수"라 부른다.

      참조변수는 위에서 본 예제처럼 일반 메소드에 접근하듯 접근하면 된다.

      접근이 안돼는 때도 있지만 나중에 배워보자

 

 

또한 코드를 보다보면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생성자를 자주 보게 될 것이다.

클래스를 public으로 선선하지 않았으면 public으로 선언해도 default 효과를 얻게 된다. 

publi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해보자

 

 

 

매개변수로 class형을 쓸수있을까?

--> 

이런 상황이 나올 수 있다. 

이렇게 만든 class A를 자료형으로 받아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 다음의 예제를 보고 이해해보자!

 

 

반응형

'Program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6) - static  (0) 2019.06.08
JAVA (5) - 지시자, 캡슐화  (0) 2019.06.08
JAVA (3) - 연산자  (0) 2019.06.08
JAVA (2) - 자료형  (0) 2019.06.08
JAVA (1)  (0) 2019.06.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