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 (35)
밍키의 마법세상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println에서의 +를 간단히 알아보자! 이 코드의 출력값은 무엇일까? 바로 12 75 이다. (num1+num2) 는 먼저 계산한 결과를 하나의 문자열로 출력하고 num1 + num2 는 "덧셈 = "과 num1의 값, num2의 값을 각각 문자열로 출력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이외의 복합 대입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모두 C와 같다.

오늘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의 변수 선언과 초기화는 C와 같으므로 일단 넘어가겠다! 우선 자바의 출력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System.out.println();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한뒤 줄바꿈을 해준다. = print("\n"); --> System.out.print(); 괄호 안의 내용만 출력한다. 두개가 있다. 그럼 자바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두가지로 크게 나뉜다. --> Primitive Type : 기본형, 기본적으로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형 --> Reference Type: 우리가 직접 만드는 자료형(class, interface, enum) 그럼 기본형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자료형 크기 값의 범위 정수형 byte 1바이트 -128 ~ 127 short 2바이..
public class 란? 자바 클래스파일을 생성할시에 입력했던 이름과 같은 class 가 public형으로 생성된다. 이름 변경을 해서는 안됀다. main 메소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는 절대로 변경될 수 없다. 자바의 구조는 대략 이렇게 되어있다. 1. 클래스 파일과 같은 이름의 public class가 존재한다. 2. 메인 메소드가 존재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메인 메소드 안에 중괄호로 묶여있는 부분의 내용이 실행된다. 4. 자바는 class 단위로 선언이 된다.
음... 우선 메모리 구조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CODE 함수, 제어문, 상수영역 DATA 전역 변수 BSS 전역 변수 HEAP 동적 할당 STACK 지역 변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운영체제는 우리가 실행시킨 프로그램을 위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준다. 할당되는 메모리 공간은 크게 Stack, Heap, Data로 나뉜다! DATA, BSS--> 전역 변수와 static 변수가 할당되는 영역프로그램의 시작과 동시에 할당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어야 메모리에서 소멸됨BSS에는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가,DATA에는 초기화된 변수가 들어간다! 123456789#include"stdio.h" int a = 10;int b = 20;int main(){ return 0;}cs a 와 b 는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include"stdio.h"#include"windows.h"int main() { int plat[100][100] = { 0, }; int n1, n2, l1, l2; scanf("%d %d", &n1, &n2); l1 = n1; //x좌표 l2 = n2; //y좌표 int a = 1, row = -1, col = 0, k = 1; //row : 세로줄 , col : 가로줄, k : 더하는값 while(l1 > 0 && l2 > 0) { for (int i = 0; i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반환값 자료형, 함수이름, () 순으로 적은 뒤 {} 안에 원하는 코드를 짜면 된다! c의 컴파일러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소스코드를 해석하기 때문에 함수를 만들 때는 함수 선언을 해주어야 한다! 반환값자료형 함수이름(); 그렇다면 함수에서 값을 꺼내와보자! 반환값은 함수를 정의할 때 반환값의 자료형을 지정해주고 함수 안에서 return 키워드로 값을 반환해주면 된다! 한가지 조심해야 할점은 반환값과 반환값의 자료형이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반환값의 자료형은 반환값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결정한다. 실수를 반환해 주는것도 쉽게 할수 있다! 만약 반환하는 자료형과 반환하는 값의 자료형이 다르다면 다음과 같이 자료형을 변환하면서 반환하면 된다! return (자료형)변수;..

C언어에서는 문자 자료형인 char는 있지만 문자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은 없다! 따라서 문자열은 포인터 형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char *변수이름 = "문자열"; --> C++에서는 const char이라 해줘야한다! 이유는 맨 밑에서 설명하겠다! 문자열은 1바이트를 넘어가 문자열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포인터를 사용하여 저장한다. (%p로 메모리 주소를 출력할수도 있다) 문자는 변수안에 그대로 저장되지만 문자열은 변수안에 저장되지 않고, 메모리 주소만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 주소는 읽기 전용이므로 다른 문자열을 덮어쓸 수 없다. 여기서 한가지!! c언어의 문자열에 끝에는 항상 널 문자(null)가 붙는다! h e l l o Null(\0) 문자열 포인터에서 인덱스로 값을 가져올수도 있다! 위와같이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