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Java (12)
밍키의 마법세상

이번엔 대망의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자! 클래스란? --> 객체를 정의해놓은 것으로 틀이라 정의할 수 있다. 객체란? --> 클래스를 이용해 실체화 시킨 것으로 틀로 나온 제품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담 C의 구조체와 다른점은 무엇일까? --> 큰 차이점은 자바에선 객체를 이루는 요소가 변수같은 "데이터"분만 아니라 "기능까지 구현하여 넣을 수 있다." 마치 C의 사용자 지정 함수의 역할도 한다는 것이다! 클래스를 생성할때는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class 클래스이름 { 내용.... } 주의할 점은 클래스의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생성한 클래스를 객체로 만드는 법은 무엇일까? 클래스이름 객체이름 = new 클래스이름(); 이다. 만약 Hi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이를 객체화 시킨다면? Hi라는 클래스를..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println에서의 +를 간단히 알아보자! 이 코드의 출력값은 무엇일까? 바로 12 75 이다. (num1+num2) 는 먼저 계산한 결과를 하나의 문자열로 출력하고 num1 + num2 는 "덧셈 = "과 num1의 값, num2의 값을 각각 문자열로 출력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이외의 복합 대입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모두 C와 같다.

오늘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의 변수 선언과 초기화는 C와 같으므로 일단 넘어가겠다! 우선 자바의 출력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System.out.println();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한뒤 줄바꿈을 해준다. = print("\n"); --> System.out.print(); 괄호 안의 내용만 출력한다. 두개가 있다. 그럼 자바의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두가지로 크게 나뉜다. --> Primitive Type : 기본형, 기본적으로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형 --> Reference Type: 우리가 직접 만드는 자료형(class, interface, enum) 그럼 기본형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자료형 크기 값의 범위 정수형 byte 1바이트 -128 ~ 127 short 2바이..
public class 란? 자바 클래스파일을 생성할시에 입력했던 이름과 같은 class 가 public형으로 생성된다. 이름 변경을 해서는 안됀다. main 메소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는 절대로 변경될 수 없다. 자바의 구조는 대략 이렇게 되어있다. 1. 클래스 파일과 같은 이름의 public class가 존재한다. 2. 메인 메소드가 존재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메인 메소드 안에 중괄호로 묶여있는 부분의 내용이 실행된다. 4. 자바는 class 단위로 선언이 된다.